LG화학·삼성SDI, 14일 ESS 안전성 강화 대책 일제히 발표 "원인 나오지 않았지만 선제적 조치"

지난 6월 민관합동 ESS 화재사고 원인조사위원회가 정부세종청사에서 ESS 화재원인 조사결과 및 안전관리대책을 발표하고 있다. <뉴스1>

[한국정책신문=한행우 기자] 국정감사에서 ESS(에너지저장장치) 화재 문제를 놓고 국회의원들의 강한 질타를 받았던 삼성SDI와 LG화학이 안전성 확보에 경쟁적으로 나선다. 

앞서 이달 7일 진행된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국정감사에서는 지난 6월 정부의 ESS 화재 원인 조사 결과 및 대책 발표 이후에도 또다시 ESS 화재가 발생한 것을 놓고 기업 및 정부에 대한 질책이 이어졌다.

LG화학은 ESS 안전성 강화를 위해 대책 수립 및 정확한 화재원인 규명을 실시하고 있다고 14일 밝혔다. 외부의 전기충격으로부터 배터리를 보호하기 위해 모듈퓨즈, 서지 프로텍터, 랙퓨즈 등의 안전장치를 설치했으며 IMD(절연에 이상 발생시 전원을 차단시켜 화재를 예방하는 장치) 안전장치를 함께 설치하는 등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는 입장이다.

화재확산 방지 제품출시도 준비 중이다. 해당 제품은 현재 국제인증을 시험통과한 상태로 추가 테스트가 마무리되는 되는대로 관련 시스템을 적용한다는 방침이다.

LG화학은 추가적으로 정확한 화재원인을 확인하기 위해 ‘fireproof HDD’도 설치·운영하고 있다. 일종의 블랙박스 같은 개념으로 화재가 발생돼도 관련 기록이 소실되지 않도록 HDD(배터리 내 하드디스크)를 보호하는 장치다.

더불어 설치업체에 대한 교육을 실시하고 지속적으로 교육을 강화해 나갈 예정이다.

LG화학은 “최근 발생한 화재의 경우 아직 원인이 나오지 않았지만 선제적인 조치의 일환으로 2017년 난징(南京)산 배터리를 포함한 사이트는 화재를 방지하기 위해 70%로 제한가동 중이며 손실비용에 대해서는 당사가 부담해 사업주들의 부담을 최소화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또 “정확한 원인규명을 위해 정밀 실험 및 분석은 물론 보다 가혹한 환경에서의 시험까지 포함해 진행할 계획”이라며 “결과에 따라 필요한 책임 있는 조치를 취하고 만약 명확한 원인이 규명되지 않더라도 교체를 포함한 보다 적극적인 대응방안을 마련하겠다”고 덧붙였다.

삼성SDI 역시 같은 날 안전 대책을 발표했다. 삼성SDI는 자사 에너지저장장치(ESS)에 특수 소화시스템을 전면 도입한다고 14일 밝혔다.

이달 초부터 신규 ESS에는 특수 소화시스템을 적용해 출시하고 이미 설치·운영 중인 국내 1000여개 ESS에는 삼성이 비용을 부담해 적용하기로 했다. 기존 제품에 대해 삼성SDI가 부담하는 금액은 1500억∼2000억원으로, 이는 분기 영업이익에 맞먹는 규모다. 특수 시스템을 적용한 신규 ESS의 단가는 기존보다 3∼4% 인상된다.

이번에 도입하는 특수 소화시스템은 회사 핵심 기술을 적용한 첨단 약품과 신개념 열확산 차단재로 구성됐다. 특정 셀이 발화해도 바로 소화하고 인근 셀로 확산하는 것을 원천적으로 막을 수 있다고 삼성SDI는 설명했다.

실제보다 엄격한 환경을 조성해 실시한 실험 결과, 특수 소화시스템을 적용하지 않은 제품은 이상상태가 발생한 셀과 주변 셀의 온도가 섭씨 500도까지 올라갔다. 반면 특수 소화시스템 처리를 한 제품은 고열을 밖으로 발사시키면서 온도가 150도로 제어됐다.

고열 상태가 전이되지 않고 서서히 식으면서 수십분 안에 정상 상태를 유지한다는 것이 회사 측 설명이다. 특수 소화시스템은 미국 국제 인증 기관인 UL의 최근 강화된 테스트 기준을 만족했다.

삼성SDI는 국내 전 사이트를 대상으로 진행되고 있는 안전성 대책 관련 비용을 전부 자체 부담해 이달 안에 마무리하겠다는 계획이다.

삼성은 특히 “화재 원인이 자사 배터리 결함은 아니지만, 글로벌 선도 기업으로서 국내 ESS 생태계를 복원하기 위해 비용 부담을 감수하고 추가 대책을 마련했다”고 강조했다. 

삼성과 LG 모두 ‘화재 원인이 밝혀지지 않았다’거나 ‘배터리 결함은 아니’라면서도 선제적 혹은 대승적 차원에서 안전 대책에 투자한다는 점을 강조하고 있다. 이는 국감을 전후로 한 정치권의 공세 및 비난 여론 확산을 의식한 움직임으로 풀이된다. 

앞서 지난 국감 당시 윤한홍 자유한국당 의원은 산업통상자원부의 전국 ESS 설치 현황자료를 분석한 결과 50여개가 백화점, 지하철역, 병원, 대형쇼핑몰, 영화관 등 다중이용시설에 설치된 것으로 나타났다고 지적하고 “국민들이 시한폭탄을 끼고 사는 상황”이라며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이용주 의원은 “ESS 화재 사고 중 LG화학과 삼성SDI가 제조한 배터리가 88%를 차지하고 있고 특히 LG화학이 특정 시기 특정 공장에서 제조한 배터리가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며 리콜을 거론하기도 했다. 

저작권자 © 굿모닝경제 - 경제인의 나라, 경제인의 아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