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하량 증가로 채소류 가격 14.6% 떨어져

<뉴스1>

[한국정책신문=주가영 기자] 1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연중 최저수준으로 떨어졌다.

출하량 증가로 무, 파 등 채소류 가격이 지난해보다 큰 폭으로 하락하면서 농축산물 상승 폭이 둔화된데다 가스요금·전기료 인하에 따른 기저효과도 물가 안정에 기여했다.

반면 오징어 등 수산물 가격은 뛰었고, 유가가 올라 석유류 가격도 상승세를 이어갔다.

통계청이 1일 발표한 소비자물가 동향을 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1년 전보다 1.3% 상승했다.

이는 지난해 12월 1.3% 상승한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소비자물가 상승 폭은 지난 7월부터 석 달 연속 2%대 이상을 기록하다가 넉 달 만에 다시 1%대로 떨어졌고 지난달에 이어 다시 최저 기록을 갈아치웠다.

배추·무 출하량 증가로 채소류가 14.6% 하락하면서 전체 물가를 0.26%포인트 끌어내렸다.

채소류 물가는 2014년 8월 18.1% 떨어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추락했다.

반면 오징어 수확량 감소 등 영향으로 수산물은 7.2% 오르면서 농·축·수산물 물가가 0.7% 상승했다.

도시가스 가격 인하, 지난해 7∼9월 한시적 전기료 인하 효과 소멸에 따른 기저효과 등 영향으로 전기·수도·가스는 6.7% 하락, 전체 물가를 0.28%포인트 떨어뜨렸다.

특히 도시가스 요금은 1년 전보다 4.0%나 떨어지면서 전체 물가를 0.06%포인트 하락시키는 역할을 했다.

유가 상승 영향으로 석유류 가격은 지난달과 같은 수준인 8.2% 오르며 상승세를 이어갔다.

석유류 가격 상승세로 공업제품은 1.4% 올라 전체 물가를 0.46%포인트 견인했다.

집세·공공서비스 등 서비스 물가는 1.8% 상승하면서 전체 물가를 1.02%포인트 끌어올렸다.

서민 체감물가인 생활물가지수는 1년 전보다 1.3% 상승했다. 지난해 12월 1.2% 오른 이후 상승 폭이 가장 낮다.

이중 식품은 1.1%, 식품 이외는 1.3% 상승했다. 전·월세 포함 생활물가지수는 1.3% 올랐다.

신선식품지수는 신선어개가 5.6%, 신선과실이 6.6% 상승했지만 신선채소가 14.8% 하락하면서 2.5% 떨어졌다.

신선식품지수는 지난해 6월 3.4% 하락한 이후 가장 큰 폭으로 내린 것이다.

계절 요인이나 일시적인 충격에 따른 물가변동분을 제외한 농산물석유류제외지수는 1.2% 상승했다.

기초 물가상승률 범위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으로 볼 수 있는 식료품 및 에너지 제외지수는 1.4% 올랐다.

기획재정부는 "향후 물가는 국제유가 변동, 조류인플루엔자(AI) 재발 등 위험요인이 있으나 농산물 가격 안정 등으로 안정세가 지속될 것"이라며 "건고추와 오징어 등 가격 강세가 지속되고 있는 일부 생활밀접 품목에 대한 수급 안정과 수급관리 기반 강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굿모닝경제 - 경제인의 나라, 경제인의 아침!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